본문 바로가기
거북왕의 정보교실

고려시대 역사 요약본

by 어니부기입니다 2024. 6. 17.
반응형

고려시대는 918년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하고 고려를 건국하면서 시작되었습니다. 고려는 약 474년 동안 한반도를 지배하였으며, 1392년 조선이 건국되면서 종말을 맞이하였습니다.

고려의 건국과 통일(918-936): 왕건은 후삼국(후백제, 후고구려, 신라)의 혼란을 종식시키고 고려를 건국했습니다. 935년에 신라를 병합하고, 936년에 후백제를 정복하여 한반도를 통일했습니다.

중앙집권화와 문치주의: 고려는 중앙집권 체제를 강화하고, 문신(문벌귀족)이 지배하는 문치주의를 확립했습니다. 과거제를 통해 인재를 등용하고, 법제와 행정을 정비하여 국가 운영을 체계화했습니다.

거란과의 전쟁(993, 1010, 1018): 고려는 거란(요나라)과 세 차례에 걸친 전쟁을 치렀습니다. 특히 1018년의 귀주대첩에서 강감찬 장군이 거란군을 대파하여 고려의 국력을 과시했습니다.

여진과의 관계: 고려는 여진족과도 빈번히 충돌했습니다. 여진족이 강성해지자 고려는 방어를 위해 천리장성을 축조하고, 여진 정벌에 나섰습니다. 그러나 이후 여진족이 세운 금나라와 외교적 관계를 맺으며 평화적으로 공존했습니다.

몽골과의 전쟁(1231-1270): 몽골 제국의 침략을 받아 30여 년간 전쟁을 치렀습니다. 강화도로 천도하여 항전하였으나, 결국 1270년 항복하고 몽골의 간섭을 받게 되었습니다. 이 시기에 많은 문화재와 사찰이 파괴되었습니다.

원 간섭기(1270-1356): 고려는 원나라의 간섭을 받으며 내정이 불안정했습니다. 원의 간섭은 공민왕 때부터 점차 극복되기 시작하였으며, 공민왕은 원의 세력을 몰아내고 고려의 자주성을 회복하려 노력했습니다.

불교의 융성: 고려 시대는 불교가 융성했던 시기입니다. 대장경을 판각하고, 화엄종과 선종 등 다양한 불교 종파가 발전하였습니다. 많은 사찰이 건립되고, 불교 예술이 번성했습니다.

무신정권(1170-1270): 1170년 정중부의 난을 시작으로 무신들이 정권을 장악하여 약 100년간 무신정권이 지속되었습니다. 이 시기에는 무신들의 권력 다툼과 농민 봉기가 빈번하게 발생했습니다.

말기와 조선 건국(1356-1392): 원 간섭 이후 고려는 내부적으로 혼란을 겪었으며, 외부적으로는 홍건적과 왜구의 침입에 시달렸습니다. 이를 극복하고자 공민왕은 개혁을 추진했으나, 귀족들의 반발과 암살로 실패했습니다. 1392년 이성계가 조선을 건국하면서 고려는 막을 내렸습니다.

고려시대는 정치, 경제,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큰 발전을 이룬 시기였습니다. 특히, 대장경과 팔만대장경 등의 문화유산은 오늘날까지도 높은 가치를 인정받고 있습니다.

반응형